Skip to content

Commit

Permalink
Update documentation
Browse files Browse the repository at this point in the history
  • Loading branch information
SDSTony committed Oct 23, 2024
1 parent 5a1b7bf commit 8e3fcfb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Showing 18 changed files with 2,658 additions and 23 deletions.
2 changes: 1 addition & 1 deletion _sources/intro.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6,7 +6,7 @@

순차적으로 111개의 자료들을 공개할 예정입니다.

현재까지 공개된 자료 수: 2개
현재까지 공개된 자료 수: 4개

경영정보시각화능력 Power BI 실기 시험 통과하시는데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Expand Down
10 changes: 5 additions & 5 deletions _sources/math-agg-stats/abs.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22,12 +22,12 @@ ABS(<숫자>)

## 실습 문제

> 아래 조건으로 <판매 데이터> 테이블에 측정값을 추가하시오.
> 아래 조건으로 `<판매 데이터>` 테이블에 측정값을 추가하시오.
- 측정값 이름: [이익의_절댓값]
- 활용 필드: <판매 데이터> 테이블의 [매출][비용] 필드
- [매출]에서 [비용]을 차감한 후 절댓값 계산
- 사용 함수: ABS, SUM
- 측정값 이름: `[이익의_절댓값]`
- 활용 필드: `<판매 데이터>` 테이블의 `[매출]``[비용]` 필드
- 측정값 설명: `[매출]`에서 `[비용]`을 차감한 후 절댓값 계산
- 사용 함수: `ABS`, `SUM`

### 선택지

Expand Down
10 changes: 5 additions & 5 deletions _sources/math-agg-stats/divide.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24,12 +24,12 @@ DIVIDE(<분자>, <분모> [, <대체 결과>])

## 실습 문제

> 아래 조건으로 <판매 데이터> 테이블에 측정값을 추가하시오.
> 아래 조건으로 `<판매 데이터>` 테이블에 측정값을 추가하시오.
- 측정값 이름: [이익률]
- 활용 필드: <판매 데이터> 테이블의 [매출][비용] 필드
- [매출]에서 [비용]을 차감한 것을 [매출]로 나눠주기, [매출]이 0인 경우 "매출 없음"이 반환 되도록 하기
- 사용 함수: DIVIDE, SUM
- 측정값 이름: `[이익률]`
- 활용 필드: `<판매 데이터>` 테이블의 `[매출]``[비용]` 필드
- 측정값 설명: `[매출]`에서 `[비용]`을 차감한 것을 `[매출]`로 나눠주기, `[매출]`이 0인 경우 "매출 없음"이 반환 되도록 하기
- 사용 함수: `DIVIDE`, `SUM`

### 선택지

Expand Down
54 changes: 54 additions & 0 deletions _sources/math-agg-stats/int.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54 @@
# INT

- 입력 받은 숫자를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 합니다.

## 문법

```
INT(<숫자>)
```

## 매개변수

매개변수 명 | 설명
---------|----------
숫자 | 정수로 내림 시키고자 하는 숫자


## 반환 결과

- <숫자>를 내림하여 산출된 정수

## 실습 문제

> 아래 조건으로 `<날씨>` 테이블에 새 열(계산된 열)을 추가하시오.
- 새 열 이름: `[정수_평균기온]`
- 활용 필드: `<날씨>` 테이블의 `[평균기온]` 필드
- 새 열 설명: 행별 `[평균기온]`을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한 값
- 사용 함수: `INT`

### 선택지

A.
```
[정수_평균기온] = INT('날씨'[평균기온])
```

B.
```
[정수_평균기온] = INT(SUM('날씨'[평균기온]))
```

### 정답 및 해설

```{admonition} 클릭해서 정답 및 해설을 확인해보세요.
:class: dropdown
정답: A
A. INT 함수를 사용한 후 <날씨> 테이블에 있는 [평균기온] 필드를 인자로 입력했음. 새 열 특성상 행 별로 들어가 있는 숫자들이 INT 함수에 전달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문법. 그러므로 정답.
B. SUM 함수를 요구하지 않았음. 그와 더불어 위 문법은 SUM 함수를 사용해 [평균기온] 필드내에 있는 모든 기온의 합을 먼저 구하고, 그 합에 대해 내림하여 정수를 구함. 결론적으로 생성되는 [정수_평균기온] 필드에는 모든 행에 동일한 상수가 들어감. 문제에서 요구하는 행별로 정수 값이 계산되지 않음. 그러므로 오답.
```
68 changes: 68 additions & 0 deletions _sources/math-agg-stats/round.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68 @@
# ROUND

- 입력 받은 숫자를 지정된 자릿수에서 반올림 합니다.

## 문법

```
ROUND(<숫자>, <자릿수>)
```

## 매개변수

매개변수 명 | 설명
---------|----------
숫자 | 반올림 하고 싶은 숫자
자릿수 | 0이거나 양수인 경우 소수점 `자릿수 + 1`째 자리에서 반올림, 음수인 경우 정수 \|`자릿수`\|째 자리에서 반올림


## 반환 결과

- 반올림된 결과(소수; decimal)

## 실습 문제

> 아래 조건으로 `<날씨>` 테이블에 새 열(계산된 열)을 추가하시오.
- 새 열 이름: `[반올림_평균기온]`
- 활용 필드: `<날씨>` 테이블의 `[평균기온]` 필드
- 새 열 설명: 행별 `[평균기온]`을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 (ex. 24.189 -> 24.2)
- 사용 함수: `ROUND`

### 선택지

A.
```
반올림_평균기온 = ROUND('날씨'[평균기온], 2)
```

B.
```
반올림_평균기온 = ROUND('날씨'[평균기온], -2)
```

C.
```
반올림_평균기온 = ROUND('날씨'[평균기온], -1)
```

D.
```
반올림_평균기온 = ROUND('날씨'[평균기온], 1)
```

### 정답 및 해설

```{admonition} 클릭해서 정답 및 해설을 확인해보세요.
:class: dropdown
정답: D
A.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24.189인 경우 24.19가 반환됨. 그러므로 오답
B. 정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24.189인 경우 0이 반환됨. 그러므로 오답.
C. 정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 24.189인 경우 20이 반환됨. 그러므로 오답.
D.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24.189인 경우 24.2이 반환됨. 그러므로 정답.
```
68 changes: 68 additions & 0 deletions _sources/math-agg-stats/rounddown.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68 @@
# ROUNDDOWN

- 입력 받은 숫자를 지정된 자릿수에서 0에 가까이 오도록 내림

## 문법

```
ROUNDDOWN(<숫자>, <자릿수>)
```

## 매개변수

매개변수 명 | 설명
---------|----------
숫자 | 반올림 하고 싶은 숫자
자릿수 | 0이거나 양수인 경우 소수점 `자릿수 + 1`째 자리에서 내림, 음수인 경우 정수 \|`자릿수`\|째 자리에서 내림


## 반환 결과

- 내림된 결과(소수; decimal)

## 실습 문제

> 아래 조건으로 `<날씨>` 테이블에 새 열(계산된 열)을 추가하시오.
- 새 열 이름: `[내림_평균기온]`
- 활용 필드: `<날씨>` 테이블의 `[평균기온]` 필드
- 새 열 설명: 행별 `[평균기온]`을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 (ex. 24.189 -> 24.2)
- 사용 함수: `ROUND`

### 선택지

A.
```
반올림_평균기온 = ROUND('날씨'[평균기온], 2)
```

B.
```
반올림_평균기온 = ROUND('날씨'[평균기온], -2)
```

C.
```
반올림_평균기온 = ROUND('날씨'[평균기온], -1)
```

D.
```
반올림_평균기온 = ROUND('날씨'[평균기온], 1)
```

### 정답 및 해설

```{admonition} 클릭해서 정답 및 해설을 확인해보세요.
:class: dropdown
정답: D
A.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24.189인 경우 24.19가 반환됨. 그러므로 오답
B. 정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24.189인 경우 0이 반환됨. 그러므로 오답.
C. 정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 24.189인 경우 20이 반환됨. 그러므로 오답.
D.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24.189인 경우 24.2이 반환됨. 그러므로 정답.
```
68 changes: 68 additions & 0 deletions _sources/math-agg-stats/roundup.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68 @@
# ROUNDUP

- 입력 받은 숫자를 지정된 자릿수에서 0에서 멀어지도록 올림

## 문법

```
ROUNDUP(<숫자>, <자릿수>)
```

## 매개변수

매개변수 명 | 설명
---------|----------
숫자 | 반올림 하고 싶은 숫자
자릿수 | 0이거나 양수인 경우 소수점 `자릿수 + 1`째 자리에서 내림, 음수인 경우 정수 \|`자릿수`\|째 자리에서 내림


## 반환 결과

- 내림된 결과(소수; decimal)

## 실습 문제

> 아래 조건으로 `<날씨>` 테이블에 새 열(계산된 열)을 추가하시오.
- 새 열 이름: `[내림_평균기온]`
- 활용 필드: `<날씨>` 테이블의 `[평균기온]` 필드
- 새 열 설명: 행별 `[평균기온]`을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 (ex. 24.189 -> 24.2)
- 사용 함수: `ROUND`

### 선택지

A.
```
반올림_평균기온 = ROUND('날씨'[평균기온], 2)
```

B.
```
반올림_평균기온 = ROUND('날씨'[평균기온], -2)
```

C.
```
반올림_평균기온 = ROUND('날씨'[평균기온], -1)
```

D.
```
반올림_평균기온 = ROUND('날씨'[평균기온], 1)
```

### 정답 및 해설

```{admonition} 클릭해서 정답 및 해설을 확인해보세요.
:class: dropdown
정답: D
A.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24.189인 경우 24.19가 반환됨. 그러므로 오답
B. 정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24.189인 경우 0이 반환됨. 그러므로 오답.
C. 정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 24.189인 경우 20이 반환됨. 그러므로 오답.
D.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24.189인 경우 24.2이 반환됨. 그러므로 정답.
```
2 changes: 2 additions & 0 deletions genindex.html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178,6 +178,8 @@
<ul class="nav bd-sidenav">
<li class="toctree-l1"><a class="reference internal" href="math-agg-stats/abs.html">ABS</a></li>
<li class="toctree-l1"><a class="reference internal" href="math-agg-stats/divide.html">DIVIDE</a></li>
<li class="toctree-l1"><a class="reference internal" href="math-agg-stats/int.html">INT</a></li>
<li class="toctree-l1"><a class="reference internal" href="math-agg-stats/round.html">ROUND</a></li>
</ul>

</div>
Expand Down
6 changes: 5 additions & 1 deletion intro.html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180,6 +180,8 @@
<ul class="nav bd-sidenav">
<li class="toctree-l1"><a class="reference internal" href="math-agg-stats/abs.html">ABS</a></li>
<li class="toctree-l1"><a class="reference internal" href="math-agg-stats/divide.html">DIVIDE</a></li>
<li class="toctree-l1"><a class="reference internal" href="math-agg-stats/int.html">INT</a></li>
<li class="toctree-l1"><a class="reference internal" href="math-agg-stats/round.html">ROUND</a></li>
</ul>

</div>
Expand Down Expand Up @@ -392,7 +394,7 @@ <h1>EDA-Study와 함께하는 경영정보시각화능력 Power BI DAX 함수
<p>경영정보시각화능력 Power BI 실기를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한 자료입니다.</p>
<p>대한상공회의소에서 공개한 <a href="https://license.korcham.net/co/examguide02Sub.do?cd=0108&mm=28&num=3015481">DAX 함수 출제범위</a>에 포함되어 있는 111개의 DAX 함수를 완전 정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콘텐츠입니다.</p>
<p>순차적으로 111개의 자료들을 공개할 예정입니다.</p>
<p>현재까지 공개된 자료 수: 2개</p>
<p>현재까지 공개된 자료 수: 4개</p>
<p>경영정보시각화능력 Power BI 실기 시험 통과하시는데 도움되시길 바랍니다.</p>
<p>제작: EDA-Study - <a class="reference external" href="https://www.youtube.com/&#64;EDA-gongbu">[유튜브 채널]</a> <a class="reference external" href="https://eda-study.com/">[홈페이지]</a></p>
<section id="id1">
Expand All @@ -402,6 +404,8 @@ <h2>목차<a class="headerlink" href="#id1" title="Link to this heading">#</a></
<ul>
<li class="toctree-l1"><a class="reference internal" href="math-agg-stats/abs.html">ABS</a></li>
<li class="toctree-l1"><a class="reference internal" href="math-agg-stats/divide.html">DIVIDE</a></li>
<li class="toctree-l1"><a class="reference internal" href="math-agg-stats/int.html">INT</a></li>
<li class="toctree-l1"><a class="reference internal" href="math-agg-stats/round.html">ROUND</a></li>
</ul>
</div>
</section>
Expand Down
12 changes: 7 additions & 5 deletions math-agg-stats/abs.html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179,6 +179,8 @@
<ul class="current nav bd-sidenav">
<li class="toctree-l1 current active"><a class="current reference internal" href="#">ABS</a></li>
<li class="toctree-l1"><a class="reference internal" href="divide.html">DIVIDE</a></li>
<li class="toctree-l1"><a class="reference internal" href="int.html">INT</a></li>
<li class="toctree-l1"><a class="reference internal" href="round.html">ROUND</a></li>
</ul>

</div>
Expand Down Expand Up @@ -433,13 +435,13 @@ <h2>반환 결과<a class="headerlink" href="#id3" title="Link to this heading">
<section id="id4">
<h2>실습 문제<a class="headerlink" href="#id4" title="Link to this heading">#</a></h2>
<blockquote>
<div><p>아래 조건으로 &lt;판매 데이터&gt; 테이블에 측정값을 추가하시오.</p>
<div><p>아래 조건으로 <code class="docutils literal notranslate"><span class="pre">&lt;판매</span> <span class="pre">데이터&gt;</span></code> 테이블에 측정값을 추가하시오.</p>
</div></blockquote>
<ul class="simple">
<li><p>측정값 이름: [이익의_절댓값]</p></li>
<li><p>활용 필드: &lt;판매 데이터&gt; 테이블의 [매출] 및 [비용] 필드</p></li>
<li><p>[매출]에서 [비용]을 차감한 후 절댓값 계산</p></li>
<li><p>사용 함수: ABS, SUM</p></li>
<li><p>측정값 이름: <code class="docutils literal notranslate"><span class="pre">[이익의_절댓값]</span></code></p></li>
<li><p>활용 필드: <code class="docutils literal notranslate"><span class="pre">&lt;판매</span> <span class="pre">데이터&gt;</span></code> 테이블의 <code class="docutils literal notranslate"><span class="pre">[매출]</span></code><code class="docutils literal notranslate"><span class="pre">[비용]</span></code> 필드</p></li>
<li><p>측정값 설명: <code class="docutils literal notranslate"><span class="pre">[매출]</span></code>에서 <code class="docutils literal notranslate"><span class="pre">[비용]</span></code>을 차감한 후 절댓값 계산</p></li>
<li><p>사용 함수: <code class="docutils literal notranslate"><span class="pre">ABS</span></code>, <code class="docutils literal notranslate"><span class="pre">SUM</span></code></p></li>
</ul>
<section id="id5">
<h3>선택지<a class="headerlink" href="#id5" title="Link to this heading">#</a></h3>
Expand Down
Loading

0 comments on commit 8e3fcfb

Please sign 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