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목적
- 팀 프로젝트와 결과물 발표의 의의
- 결과물 발표 준비 과정
- 아이디어 구상하기
- 역할 분담
- 발표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
- 개인 혹은 팀별로 아이디어를 구상한 후, 코딩을 통해 완성품을 만들기까지의 과정을 예시를 통해 간략히 설명
- 단순히 결과물 제작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자신의 결과물을 간단한 발표자료로 만들어 소개하는 연습하기
- 추후 창업대회나 회사 등에서 자신의 결과물을 어필하는데 활용 가능한 프레젠테이션 기술 익히기
- 혼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보다 얻어가는 지식이 많다
- 후에 회사 입사나 창업을 할 때 이러한 협동을 했던 경험이 도움이 된다.
- 발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프로젝트의 보완할 점을 찾을 수 있다.
- 자신의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는 투자자, 팀원을 찾는 방법 중 하나이다.
- 프로젝트의 목적과 필요성을 찾는 과정에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생겨날 수 있다.
- 이 제품이 왜 소비자들에게 필요한가?
- 이 제품을 소비자들에게 판매함으로써 이윤이 얼마나 되는가?
- 이 제품이 다른 유사한 제품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독창적이고 창의적인가?
크게 경영 및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로 나뉨
- 팀에서 리더를 맡아 각 팀원에게 임무를 분담 및 목표달성도 확인
- 아이디어로 개발하고자 하는 제품과 시장을 분석
- 발표에 사용될 피피티나 발표자료를 준비
- 상품을 직접 코딩을 통해 개발함
- 여럿이서 개발을 분담할 경우 나중에 합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으로 인원은 최소가 좋음
- 간략하게는 UI나 제품의 전반적인 레이아웃을 담당하는 프론트엔드와 상품 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나 기술적인 영역을 담당하는 벡 엔드로 나눠짐
- 상품에 사용될 이미지, 케릭터, 2D/3D 모델을 담당함
- 프론트 엔드 개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아 코딩지식도 겸하고 있으면 좋음
- 살아가면서 불편했던 일이나 사회적인 문제들을 제시한 후, 소비자들이 이 제품을 통해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를 설명
- 통계자료, 표, 그림 같은 시각 자료를 같이 이용하는 것도 좋음
- 기존에 이미 시장에 존재하던 다른 유사한 제품과 다르게 어떤 부분이 더 강점이 될 것인지도 언급, 설명
- 이 제품을 구매했을 때의 기대효과를 다양한 방면에서 설명
- 환경적인 효과, 경제적인 효과, 사회적인 효과 등등
- 결국 이 제품을 통해 어떻게 이윤을 남길 것인지인 사업구조를 설명
- 매출-비용을 추정
- 제품 및 서비스 개발 계획을 장기적으로 설명
- 초기 시장진입 계획
- 각 단계별 추진 일정